잠은 건강에 있어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수면과 관련된 질환이 있을 경우 몸 전체의 건강을 해치고 신체 밸런스를 무너뜨린다. 잠은 부족해도, 과해도 문제가 된다. 수면시간이 7시간 미만이면 비만·당뇨병·고혈압과 심장질환·뇌졸중·우울증 등과 같은 질환 발생 위험이 증가한다. 이 같은 질환은 잠자는 시간이 비정상적으로 많은 '과다수면'일 경우에도 마찬가지다.
많이 자면 게으른 사람 건강상 이상 있을 수도…'과다수면'이란 전날 밤 충분히 잠을 잤는데도 불구하고 계속해서 졸음이 몰려와 일상생활에 지장을 받을 정도의 상태를 말한다. 대체적으로 불면증으로 인한 고통은 많이 알려져 있지만 그 반대되는 증상인 과다수면은 잘 알려져 있지 않다. 이 때문에 과다수면을 겪는 사람들은 단순히 잠이 많고 게으른 사람으로 오해받기 쉽다. 그러나 건강상 다른 이유 없이 지나치게 잠이 많은 것 또한 치료가 필요한 증세이다. 만성수면 부족이 있으면 낮에 과하게 졸려 쉽게 잠드는 주간과다졸림 증상이 나타난다. 이러한 증상은 잠을 충분히 자면 해소된다. 그러나 과다수면은 만성수면 부족으로 나타나는 증상과는 조금 다르다. 하루 7~8시간 이상 잠을 자도 주간과다졸림 증상이 나타난다. 물론 과다수면은 단순히 시간만으로 진단하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7~8시간 자는 것이 보편적이지만 충분한 수면시간에는 개인차가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9시간 이상 수면을 취하고도 낮에 쏟아지는 잠을 주체할 수 없는 상태라면 과다수면일 가능성이 높다.
기면증, 수면무호흡증 등 수면질환이 원인과다수면은 잠을 많이 자도 개운한 느낌이 없고, 계속해서 졸리기 때문에 생활에 활력이 없고 피로한 상태가 지속된다. 이로 인해 일상생활의 질이 떨어질 뿐 아니라 자신감과 의욕을 상실한다. 과다수면이 발생하는 원인은 여러 가지이다. 그중 하나가 코골이 등으로 수면의 질이 낮아졌거나 수면질환을 보유하고 있을 때이다. 하이닥 정신건강의학과 상담의사 손홍석 원장(코슬립수면의원)은 "주간과다졸림은 보통 단조롭고 지루한 상황에서 발생하지만 대화나 식사를 하는 상황에서도 갑자기 발생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며 "이런 증상이 있을 경우 기면증과 수면무호흡증, 하지불안증후군 혹은 주기성사지운동증과 같은 질환이 원인으로 작용한다"라고 밝혔다. 이어 "이런 어려움을 겪고 있다면 수면질환을 정확하게 평가할 수 있는 수면다원검사와 같은 적절한 검사를 받아 정확한 진료와 진단을 받을 것"을 권했다.과다수면은 일종의 수면장애로 크게 이차성과 중추성으로 분류한다. 이차성 과다수면은 폐쇄수면무호흡, 주기사지운동장애 등의 증상으로 충분히 수면이 이뤄지지 않아 다음 날 주간 졸림을 유발한다. 다른 건강 문제로 인해 발생하기에 원인 질환을 치료하면 개선할 수 있다. 중추성 과다수면은 다른 특별한 건강상의 이유 없이 과수면증이 발생하는 것으로, 잠자고 깨어나는 것을 조율하는 뇌에 문제가 있을 것으로 추측된다. 충분한 수면을 취함에도 불구하고 주간과다졸림 증상이 계속된다. 또한 탈력발작, 가위 눌림, 환각 등의 기면병 증상이 나타난다. 낮잠을 자도 개운하지 않은 특별과다수면 증상도 동반된다.
원인 질환 치료 외에 수면의 질 높이면 극복 가능과다수면은 춘곤증과 증상이 유사하여 구별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 춘곤증은 봄에 기온이 올라가면서 활발해진 신진대사에 몸이 적응하지 못해 나타나는 일시적 피로 증상이다. 과다수면과 춘곤증 모두 낮에 졸음이 온다는 점에서 증상이 유사하다. 그러나 앉아서 책을 읽거나, 텔레비전을 보거나, 극장이나 공공장소에서 가만히 앉아 있을 때나 운전 중에 차가 막혀 잠깐 정차해 있을 때 졸게 되거나 심한 경우 잠이 드는 경우는 단순 춘곤증이 아닌 과다수면으로 볼 수 있다. 과다수면을 극복하기 위해서 원인 질환을 치료하는 것 외에 수면의 질을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 낮 시간에 졸린 느낌이 들어도 억지로라도 가벼운 맨손체조나 산책을 하면서 몸이 깨어 있는 상태를 유지해야 한다. 기상 시간을 조금씩 앞당겨 수면 패턴을 규칙적으로 변화하는 것도 방법이다. 밤에는 7시간 이상 충분한 수면 시간을 유지하고, 탄수화물이 많이 함유된 음식을 과도하게 섭취하지 않는 것이 좋다. 잠들기 3~4시간 전부터는 숙면에 방해가 될 수 있는 흡연, 커피, 음주, 격렬한 운동은 피해야 한다. 특히 수면은 뇌 건강과 기억력뿐만 아니라 성장하면서 판단력과 성격 형성에도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에 유아기 시절부터 일정 시간 이상 숙면을 취하고 일찍 자고 일찍 일어나는 규칙적인 생활을 하지 않으면 수면장애가 발생할 수 있어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도움말 = 하이닥 상담의사 손홍석 원장 (코슬립수면의원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