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으로

제목

건강 해치는 블루라이트? “근거 부족”…그래도 불편하다면 ‘이렇게’

청색광, 즉 블루라이트는 380~500nm의 파장을 가진 파란색 계열의 가시광선을 말한다. 주로 모니터, 스마트폰, 텔레비전 등에서 나오는 광원인데, 현대인들의 스마트폰 사용 시간이 길어지면서 블루라이트에 노출되는 시간도 길어지고 있다. 블루라이트가 눈 건강과 수면 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가 계속해서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최근에는 블루라이트가 인체에 해로운 영향을 주는 연구에 대한 근거가 부족하다는 또 다른 연구 결과가 나왔다.블루라이트의 인체 유해성이 명확하지 않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 출처: 클립아트코리아블루라이트, 인체에 미치는 영향 불명확해…국제기구 연구 및 성명 발표전자파를 유발하는 제품에 대한 노출 한도를 결정하는 국제기구 ‘국제 비이온화 방사보호위원회(icnirp)’ 연구팀은 최근 블루라이트를 포함한 단파장 빛이 인체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근거가 불확실하다는 성명을 내고, 관련 연구들을 분석한 결과를 국제 학술지 ‘헬스 피직스(health-physics)’ 4월호에 발표했다. 이번 연구는 블루라이트와 단파장 빛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관련된 선행 연구들을 분석하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그간 발표된 연구에 따르면, 장시간 단파장 빛에 노출되면 망막에 급격한 손상이 가해지고, 체내 멜라토닌 수치 또한 낮아지면서 불면증을 유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신경내분비계와 생체리듬에 영향을 받고, 암을 비롯한 만성질환 발병에도 연관이 있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 연구진이 이들 연구를 분석한 결과, 이러한 실험 연구들의 증거에 뚜렷한 일관성이 없기 때문에 블루라이트의 유해성을 명백히 밝혀낼 수 없다고 지적했다. 연구에 사용된 빛의 강도, 파장, 노출 지속 시간, 참여자들의 나이, 성별, 빛에 노출된 누적 경험 등이 연구별로 차이가 있기 때문에 일관적인 연구 결과를 나타내지 않는다는 것이다. 블루라이트의 장기적인 부작용을 설명하기에는 근거가 부족하고, 명확한 결론을 내기 어렵다는 것이 연구진의 설명이다. 연구진은 성명을 통해 “블루라이트에 노출될 경우 망막이 손상되거나 각성 상태가 되면서 수면의 질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추정할 수 있지만, 이에 대해 상충하는 연구 결과들이 있는 만큼 명확한 결론을 내리는 것은 불가능하다”며 “야간이나 주간 노출 모두에서 장기적인 부작용을 설명할 수 없는 상황”이라고 밝혔다.다만 “단시간 블루라이트에 노출되는 경우, 사람에 따라서는 특정 상황에서 밤잠이 줄어드는 등 단기적으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눈 건강, 숙면 걱정된다면 빛으로부터 눈 보호해야블루라이트의 인체 유해성에 대한 결론은 아직까지 명확하게 나지 않았지만, 일부 사람들은 실제로 수면장애와 안구건조증 등의 불편을 겪는다. 이때 강한 빛으로부터 눈을 적절하게 보호하면 블루라이트를 포함한 다양한 종류의 빛으로부터 망막이 손상되는 것을 막고, 숙면을 취하는 데 도움이 된다. 블루라이트는 스마트폰, 모니터 화면뿐 아니라 형광등, 태양광에서도 나오는 빛이다. 따라서 평상시 선글라스나 블루라이트 차단 안경을 착용해 눈의 피로를 줄이는 것이 권장된다. 푸른빛이 지나치게 강하거나 색온도가 6,500k를 넘는 실내조명에서도 눈이 피로해질 수 있다. 이를 피하기 위해서는 3,000k 정도로 낮은 색온도의 전구색 조명을 선택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이외에 화면을 볼 때는 화면의 밝기를 낮게 조절하고, 야간 모드나 블루라이트 차단 시스템을 사용하는 것도 도움이 된다. 스마트폰을 오래 사용한 이후 눈이 건조하거나 불편한 느낌이 든다면 눈에 충분한 휴식을 주는 것이 좋다. 화면을 들여다보는 동안 블루라이트에 노출될 뿐 아니라, 한 지점을 오랫동안 보는 동안 눈이 건조해지거나 피로를 느낄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럴 땐 눈을 감은 채로 충분히 휴식을 취하고, 눈 가장자리를 손으로 가볍게 누르면서 마사지하면 눈의 피로와 긴장을 해소하는 데 도움이 된다. 또 자기 전에는 빛에 의한 노출을 최소화하는 것이 좋다. 빛의 한 종류인 블루라이트가 수면에 영향을 준다는 근거는 부족하지만, 빛에 노출되는 것 자체는 멜라토닌의 정상적인 분비를 억제해 생체 리듬을 깨뜨리고, 숙면을 방해할 수 있다. 잠들기 전에는 스마트폰뿐 아니라 빛이 나오는 전자기기들을 멀리하는 것이 권장된다. 또 수면 유도등이나 tv 등을 켜고 자는 것도 좋지 않은 습관이다. 눈을 감고 있을 때도 눈부심과 자극 등을 유발하면서 눈의 피로도를 높이는 원인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